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칼럼자료실

1 [안전신문] 안전관리자들의 전직 및 탈건설화가 시작됐다_최종국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한보총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4-12-17 17:31

본문

선배님! 요즘 임원으로 승진하는 것도 싫다고 합니다.

?

중대재해처벌법으로 구속될까봐 임원 안하겠다고 합니다.

설마?

진짭니다.

그러면 그 임원 내가 할게. 정말 안전관리를 잘해보겠다고 열심히 했는데 그 사람을 구속시킨다면 이 대한민국이 잘못된 거 아냐? 그렇게까지 법의 잣대를 들이댄다면 누가 안전관리를 하겠다고 하겠니

정말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 안전관리는 절망이야. 그런 일은 없다고 생각해. 안전관리에 무책임한 경영자를 처벌하자는 것이지 안전을 하고자 하는 경영자는 처벌을 안받을 것이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얼마 전 후배와 통화한 내용이다.

 

오죽하면 요즘 우리 회사 임원들도 중대재해가 나면 내가 구속되느냐고 묻는다.

 

며칠 전 읽은 도서 글을 보자면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별을 달 확률은 0.7%라고 한다. 별이라는 표현은 임원을 얘기한다

1000명의 신입사원이 입사 후 일곱명만 임원이 된다는 얘기다. 직장인들의 꿈이 임원이 되는 것인데 임원이 되는 걸 두려워한다면 과연 안전을 하는 우리 직장인들은 비전이 있을까 싶다.

 

건설업이 모든 전 산업을 통틀어 산재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사망재해자의 절반이 건설업이다 보니 요즘은 건설업종 안전관리자를 기피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얼마전 건설업에 종사하는 지인들 모임에 참석한 인원 중 3명이 건설업을 떠났다. 중대재해처벌법이 가져온 변화다. 제조업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안전관리자 채용열풍이 불고 있다 보니 

재해가 비교적 적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직종으로 전직을 하는 것이다.

 

대기업 및 안정적인 제조기업에서 많은 수의 인원을 채용하니 10대 건설사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던 건설업 안전인들이 다른 직종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본사 부서든 조직 내 누가 다른 회사로 옮겼다는 소문들이 자자하다. 내 주위의 또 다른 안전관리자가 어디로 갈지가 초미의 관심사이다.

 

반면 채용시장은 넓어졌지만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는 곳이 많다. ·소규모 사업장들이다.

 

내년에 중대재해처벌법으로 대표이사 및 경영자 등 책임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한다고 하니 여기저기 안전관리자를 구하기 위해 구직을 신청하지만 찾는 이가 없다고 하소연이다

법은 안전관리자를 채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현장은 사람을 채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마 중·소규모 사업장이 중대재해처벌법이 생기면 제일 타격이 심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건설업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2023년까지 50억 이상 사업장에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 실정이다. 20212/4분기 건설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이슈리포트의 건설재해방지 강화에 따른 

안전관리자 수급 불균형 개선에 대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 등록된 건설업 종사 안전관리자는 16885명이라고 한다. 앞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건설업 안전관리자는 연평균 824명씩 증가됐다. 기존 증가율로는 오는 2023년까지 필요한 안전관리자의 50%도 채 충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을 만들기 이전에 이러한 인력 수요와 공급을 충분히 고려했는지 법안을 만든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눈앞의 현실만 보고 제도를 만들지 않았는지

현장이 답이라고 누구나 얘기하지만 그분들이 현장을 제대로 아는지 궁금하다.

 

과거에도 취업을 고려할 때 건설업이 제1순위가 아니었다. 건설업은 잦은 이동과 주로 옥외에서 이뤄지는 공사인데다 복잡·다양한 공종과 불특정한 인력

공장생산체제인 제조업과는 달리 가설재료·기계기구·노동력 등의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이 매우 어렵다. 모든 생산수단과 노동력을 상시적으로 갖출 수가 없으므로 

전문기술이나 기능·장비·노동력 등을 외부의 협력업체나 하도급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안전관리자들이 체계화된 제조업 등을 꿈꿔 왔으나 당시 채용시장이 너무 넓지 않았다. 지금의 채용시장은 그야말로 핫하다

전에 없던 나이든 안전관리자도 품귀 현상이다. 그러나 그 이면에 집중해야 할 것이 있다.

 

과연 우리 사회가 안전관리가 성숙하기 위한 제도 개선인지 아니면 경영자의 처벌을 대응하는 조직인가 한번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

 

지금 당장은 과도기다. 당장 내년부터 시행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건설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업들은 전전긍긍하면서 안전관리자 또한 산재사고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을 느낀다.

 

당장에는 채용시장이 확대돼 안전관리자들에게 좋을 것 같지만 향후 이뤄질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예방 중심의 조직보다 사고처리 중심의 안전조직으로 변모해갈까 두렵다. 벌써 그런 조짐이 보인다.

 

더 이상 안전인들의 탈건설화가 진행되지 않도록 책임감과 사명감을 갖고 근로자 재해예방에 나설 수 있도록 안전관리자의 사기 진작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출처 : 안전신문(https://www.safety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