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언론에 비친 한보총

한보총, [대한민국 안전진단] ⑧ 매년 2천명이 일터에서 목숨을 잃는다[대한민국 안전진단] ⑧ 매년 2천명이 일터에서 목숨을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한보총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4-12-11 09:53

본문

2021년 산업재해 사망자 2,080명... 안전은 뒷전
“원청·정부 의무와 역할 더욱 강화해야”


d9929bc714c683f23eee485a69a63c9e_1733877403_8275.png
 
1년에 2천 명이 일터에서 목숨을 잃는다. 그리고 12만 명이 일하다가 다치거나 병을 얻는다. 
전문가들은 ‘사업장 안전 문제가 경제적인 가치에 비해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기 때문이며, 원청이 안전관리에 대한 
의무나 비용을 지금보다 더 많이 부담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d9929bc714c683f23eee485a69a63c9e_1733877593_6079.jpg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산업재해로 4일 이상 요양이 필요한 재해를 입은 사람은 12만 2,713명이다. (픽사베이)


산업재해는 ‘남의 일’이 아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발간한 ‘산업재해현황분석’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사고·질병 포함) 2,080명이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하루에 5~6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얘기다.

◇ 2021년 산업재해 사망자 수 2,080명

노동부가 집계한 2021년 업무상 사고 사망만인율은 0.43이다. 
부산시가 최근 산업재해 현황을 발표하면서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은 0.29다. 
다만 국내 업무상 사고 사망만인율은 지난 2012년 0.73(1,134명)에서 감소추세다.

다치는 사람도 많다. 2021년 산업재해로 4일 이상 요양이 필요한 재해를 입은 사람은 12만 2,713명이다. 
일터에서의 사고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일어났다. 
재해유형별로 나눠보면 넘어지거나(2만 3,957. 이하 명) 높은 곳에서 떨어진(1만 4,775) 사례가 많다. 
어딘가에 몸이 끼이거나(13,668) 절단·베임·찔림(11,085) 사고, 또는 물체에 맞거나(8,360) 부딪히는(8,219) 사례도 많았다. 
교통사고(6,883)나 무리한 동작(5,651)에 의한 재해, 깔리거나 뒤집히는(2,436) 재해, 
그리고 무너짐(510)과 화재·폭발·파열(471)이 그 뒤를 잇는다.

기타 사례로 구분된 재해자는 6,263명이다. 이는 감전이나 이상온도 접촉, 익사, 화학물질 누출, 산소결핍 등의 사례다. 
이 뿐만이 아니다. 업무상 질병 재해자도 2만 명이 넘는다. 질병은 재해유형별로 보면 넘어짐 다음으로 많다. 
요약하면, 여러 형태의 재해가 근로자를 위협할 수 있고 ‘안전지대’라고 믿을 곳이 적다는 의미다.

최근에도 일터에서의 사고는 이어졌다. 글로벌이코노믹이 현지 외신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1월 14일(현지시간) 
SK온 헝가리 이반차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국토교통부가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중 건설사고 사망자가 54명이고 
이 중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1명이다. 시공능력평가 순위 3위인 DL이앤씨에서는 2021년 10월부터 5분기 연속으로 사망사고가 일어났다.

◇ 이어지는 산업재해...“원청·정부 의무와 역할 더욱 강화해야”

전문가들은 산업재해가 우리나라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생기는 부분이 있다고 진단한다. 산업재해를 줄이려면 원청이 안전관리에 대한 
의무나 비용을 많이 부담하고, 정부에서 일시적인 점검이나 감독뿐만 아니라 안전 분야 전반의 소프트웨어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도 조언한다.

정혜선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회장(가톨릭대 보건대학원 교수)은 산업재해가 많이 일어나는 배경에 대해 
“사업장 안전 문제가 경영 등 경제적인 가치에 비해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었고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IMF 이후 많은 부분이 하청 업무로 내려가면서 
영세 하청업체에서 산재가 많이 발생했다”고 진단했다.

정 회장은 “산재 때문에 모든 업무를 직고용하라고 요구할 수는 없는 만큼, 원청과 하청이 협력관계를 맺을 때 안전·보건에 관한 내용을 
준수하도록 조건화하고 원청이 안전 관리에 대한 의무나 비용을 분명히 부담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는 “현장의 안전 시스템이 실제 작동하도록 지원해야 한다”면서 
“일회적으로 하드웨어만 바꿔주는 게 아니라 안전보건 자체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시적인 감독이나 점검에 그치지 말고 소규모사업장에 안전관리자를 붙여주는 등 현장을 
직접 움직일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른 전문가도 비슷한 의견을 내놓았다. 문은영 민변(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노동위원회 변호사는 
“안전에 대한 인식이 기본적으로 미미하고 발생한 사고에 대해 사용자나 사업주가 치러야 하는 대가도 너무 작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부분에 대한 개선 목소리가 나오면서 일부 바뀌고는 있으나 여전히 과도기적인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행정력이 잘 이뤄지지 않고 노동자의 발언권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문은영 변호사는 “안전에 대한 감독이나 행정력이 
잘 발휘되어야 하는데 그런 부분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면서 “사건이 일어난 이후에 제재는 이뤄지지만 위험한 작업을 하는 사업장에 대한 
사전 점검 등 근본적으로 중요한 행정력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문 변호사는 “시민 안전에 대한 인식은 대형사고 등을 겪으면서 상대적으로 높아졌는데 산업재해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있는 상황이며 현실적으로 노동자의 발언권이 낮은 것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 정부에서 노조에 강경한 발언을 보이는 등 이와 같은 경향이 꾸준히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산업재해 문제가 우리사회 저출산 이슈와 엮여 ‘장기적인 인력 부족’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정혜선 회장은 “저출생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산업재해가 줄어들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좋은 인력을 확보할 수 없다. 
건강한 사람이 건강한 상태로 오랫동안 일할 수 있게 만드는 건 매우 중요한 숙제이니 이 부분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사회 전체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d9929bc714c683f23eee485a69a63c9e_1733878225_195.jpg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가 만 18세 이상 소비자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 중 71.4%가 우리나라 국민의 안전수준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픽사베이) 


◇ 국민 78.1% 산업재해 심각...“정부 관리·감독 사업주 투자·노력 절실”

일반 소비자들도 산업현장에서의 재해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국민 안전수준이 심각하며 특히 산업재해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조사 결과도 발표됐다.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가 지난 1월 만 18세 이상 소비자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 중 71.4%가 

우리나라 국민의 안전수준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안전 분야 중 산업재해에 대해서는 78.7%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35.9%는 매우 심각한 수준, 42.8%는 대체로 심각한 수준이라고 각각 답했다. 

당시 조사에서 산업재해가 심각하다는 응답비율은 교통안전이나 자연재난, 전반적인 안전수준 등 다른 항목들에 비해 높았다.

소비자들은 산재를 줄이려면 정부의 관리·감독과 사업주의 투자·노력이 필요하고 관련 제도 역시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재 감소 대책으로는 정부의 철저한 감독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28.5%로 가장 높았고 사업주의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25.0%로 2순위를 차지했다. 이어 산업안전보건 제도 강화가 18.9%로 뒤를 이었다.

연합회는 “산재 감소를 위해 정부의 감독과 관리가 1순위로 나타난 것은 산업안전보건 제도를 강화해도 이를 잘 지키는지 

감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참고로 앞서 지난해 이뤄진 조사에서는 사업주의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30.5%로 1순위를 차지했고 정부의 철저한 

감독과 관리가 28.1%로 2순위로 나타났다. 산업안전보건 제도 강화는 당시 15.0%로 3순위를 차지한 바 있다.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 보니

정부에서도 관련 대책을 세우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1월 31일 ‘2023년도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11월 공개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반영해 마련됐다.

계획에 따르면 산업재해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올해 사업장 ‘위험성 평가’를 본격 시행한다. 위험성 평가는 사업장 내 유해·위험 요인을 

자율적으로 파악하고 부상·질병 발생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해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실제로 영국, 독일 등 주요 선진국은 이미 위험성 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구축해 이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고사망만인율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데 성공했다고 고용부는 밝혔다.

위험성 평가 특화점검은 올해 사업장 2만 곳에서 진행한다. 1만 곳의 ‘위험성 평가’를 특화 점검하고, 1만 곳을 일반·특별 감독한다. 

위험성 평가 점검을 통해 지적된 사항은 개선하도록 하고 개선 노력이 없으면 불시 감독을 벌인다. 

앞서 고용부는 점검·감독 대상 2만 곳을 선정하기 위해 위험 기계·기구 보유 현황 등 빅데이터를 분석해 8만곳의 고위험 사업장을 선별한 바 있다.

최태호 고용노동부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정부에서도 사업장의 수요를 반영해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위험성 평가 컨설팅, 

재정지원 사업과 교육 등을 꾸준히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른 부처에서도 현장 점검 등 관련 활동을 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앞서 언급한 건설현장 사망사고 관련 내용 발표 당시 

“ 2022년부터 4분기 이상 연속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하거나 중대한 건설사고가 발생한 건설사에 대해서는 점검인력과 점검 기간을 

확대하는 집중·정밀점검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국토부는 특별점검에서 강도 점검을 실시해 현장 안전관리에 대한 회사 차원의 관심도 제고 및 현장의 실질적인 안전개선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우먼타임스(http://www.womentime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